본문 바로가기
자동차

빗길 운전. 비 오는날 운전 조심해야 하는 이유

by 내가 있는 곳 2024. 12. 7.
반응형

안녕하세요~

 

저는 개인적으로 비가 오는 것을 좋아합니다.

창문 밖에서 비가 떨어지는 모습과 빗소리를 듣고 있으면, 마음이 차분해지면서 평온한 느낌이 생겨서 비가 올 때에는 자주 비 구경을 하는 사람이랍니다.

 

물론 비가 좋기는 하지만 비가 올 때, 특히 비가 많이 올 때에는 운전하는 것을 싫어합니다.

 

특히 빗길에 미끄러지는 사고를 당하고 나서는요.

 

몇년이 지나기는 했는데.. 그때도 비가 굉장히 많이 왔습니다.

출근길에 도시고속도로를 그래도 나름 천천히 달리고 있었을 때였습니다.

앞 차가 브레이크를 잡길래 저도 잡았는데.. 차가 제동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안 들었습니다.

그래도 다행스럽게 옆 차선이 비어 있었고, 앞차와의 거리도 충분히 있어서 옆 차선으로 넘어가면 되겠다 싶어서 핸드를 살짝.. 진짜 살짝 꺾었는데.. 차가 그대로 돌아 버리더라고요.

ㅋㅋㅋ 그때만 생각하면 진짜 아찔하네요.

그래도 다행히 옆에 있는 나무에 부딪혀서 다른 차들에게는 아무런 피해 없이 제 차만 폐차하는 것으로 끝났습니다 ㅠㅠ

 

그래서 왜 그때 브레이크가 제대로 먹히지 않았을까 .. 인터넷을 검색하다가 알게 된 점들을 공유하고자 이렇게 글을 씁니다.

 

지금은 비가 오면 최대한 가쪽 차선으로 이동해서 저속으로 운전하는 습관이 생겼습니다.

20살에 면허증을 취득해서 그때 부터 거의 20년 넘도록 무 사고였거든요.

나름 방어운전을 한다고 생각했는데.. 차가 미끄러지는 것은 어떻게 손쓸 방법이 없더라고요.

그래서 빗길에서는 더 천천히 운전을 하는 것이 제일 안전한 방법이라고 생각이 듭니다.

 

빗길에서 한번이라도 미끌려 보신 분들은 빗길이 얼마나 위험한지 아실 것입니다.

 

그럼 빗길에서 차가 미끄러질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
 

빗길이 위험할 수 있는 이유

 

1.수막현상(하이드로플래닝)

 

먼저 첫 번째 이유는 수막현상 즉 하이드로플래닝 때문입니다.

 

수막현상은 도로 위에 물이 고여 있을 때,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물막이 생겨 차량이 떠오르며 접지력을 잃는 현상입니다.

 

이 이미지는 OpenAI에서 생성된 이미지입니다.

경험자로서 이 상황에 놓이면 운전자가 할 수 있는 것이 없었습니다.

앞차를 그대로 들이박던가..

아니면 차가 회전을 하던가..

 

2. 급제동 시

 

두 번째 이유는 브레이크를 갑자기 강하게 밟을 경우 타이어가 잠기면서 노면 위를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.

 

참고로 저는 브레이크를 세게 밟지 않았습니다.

그 당시 앞차와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어서 급제동을 하지 않고 천천히 제동을 해도 충분한 상황이었기 때문입니다.

 

급제동을 할 수 있는 상황으로는 신호 대기, 교차로 정체 구간이 있습니다.

 

이렇듯 어떤 변화로 인해 급하게 속도를 늦춰야 할 때,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.

 

3. 급가속 시

 

차가 미끄러질 수 있는 세 번째 이유는 급가속으로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.

 

비가 오고 있어서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에서 급하게 가속을 하게 되면 타이어가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.

특히 차선 변경을 위해 그리고 신호등이 바뀌었을 때 급하게 출발을 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 

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목적지까지 여유롭게 운전할 수 있게 조금 더 일찍 출발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.

 

4. 커브길 통과 시

 

네 번째 이유는 커브길을 통과할 때 속도를 줄이지 않고 빠른 속도로 통과를 하려고 할 때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.

 

커브 구간에서 속도를 줄이지 않으면 원심력에 의해 차량이 바깥쪽으로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 

사실 커브길은 평소에도 속도를 줄이는 것이 좋지요.

 

특히 비가 올 때 고속도로나 산길에서 속도를 줄이지 않는면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.

비가 올 때에는 평소보다 속도를 더 많이 줄이는 것이 안전할 것입니다.

 

5. 노면이 기름진 경우

 

다섯 번째 이유는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도로 표면의 먼지와 기름 성분이 섞여 미끄러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 

노면이 기름진 이유로는

 

차량에서 누출된 엔진 오일, 연료, 윤활유 등이 도로 위에 축적되어서 그럴 수 있고,

도로에 있는 먼지, 흙, 미세 입자가 쌓여 있다가 비가 내리면서 이 입자들이 물과 결합해서 도로 표면을 더욱 미끄럽게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.

 

그리고 비가 오랜 시간 내리지 않다가 첫 비가 내리면, 도로 위에 쌓인 기름, 먼지, 오염물질이 갑자기 활성화되기 때문인데요.. 초기 비가 이런 물질을 씻어내는 대신 얇은 기름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특히 더 미끄럽답니다.

 

6. 타이어 상태 불량

 

여섯 번째 이유는 타이어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을 때입니다.

 

타이어 트레드가 마모되거나 공기압이 낮으면 빗길에서 접지력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은 중요하답니다.

 

7. 속도 초가

 

다들 아시겠지만, 빗길에서는 노면 마찰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빗길에서 고속으로 주행을 하면 제동과 핸드 조작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

 

빗길에서는 평소보다 속도를 낮춰서 달려야 한다는 것을 대부분 알고 계시겠지만,  간혹 자신의 차의 기능과 자신의 경험을 믿고 과속으로 달리는 차들이 종종 있는데요..  그러한 행동은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네 이렇게 해서 빗길에서 차가 미끄러질 수 있는 이유들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.

 

한번 사고를 당해 보니까.. 가능하면 사고를 안 당하는 게 제일 좋더라고요.

 

그때 사고로 차는 폐차를 하게 되어서 새로 차를 구입한다고 돈이 많이 들었고, 일은 일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서 한 달 동안 잡혀 있던 일을 모두 취소하는 바람에 금전적인 손해가 많았습니다.

 

그러니 저와 같은 경험을 하시지 않으시기 바랍니다.

반응형